보관물
영어 구사력은 like 발언 횟수에 반비례
By James H. Choi
http://Korean.SabioAcademy.com
원문출처
같은 내용을 표현하는 다음 두 가지 문장이 있다.
“제가 어제 집에 가는데 비가 왔어요.”
“제가, 어, 어제, 어, 집에, 어, 가는데, 어, 비가, 어, 왔어요.”
독자 분들은 선택의 여지가 있다면 어느 문장을 구사하는 사람을 선호 하시겠는가?
YouTube를 보면 STS나 Google 같은 과학경시대회에서 입상한 학생의 인터뷰를 볼 수 있다. 이 학생들이 말하는 것을 보면 참 조리 있게 어른스럽게 유식하게 영어를 구사한다. 그런 긍정적인 인상을 주는 이유는 물론 그들이 지식인의 어휘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능력에 있지만 또 한가지 중요한 것은 자신을 멍청하게 보이는 단어를 절대로 사용하지 않는데 있다. 그 단어는 “like’ 이다. 나는 이것이 우연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즉, 그들이 입상을 하고 나서 like 사용을 중지 한 것이 아니라 like 사용자는 다 떨어져 나가고 남은 학생 사이에서 입상자가 탄생한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Like 는 전반적으로 젊은 세대가 많이 사용하는 단어이다. 이 like의 특징은 아무런 이유도 의미도 없이 문장의 중간에 등장한다는 것이다. 몇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like를 사용치 않도록 가르치지만 내가 본 글렌뷰의 한 중학교의 선생님 몇 분은 솔선수범해서 like로 문장을 채우고 있는 것을 보고 놀랐다. 저런 선생님 밑에서 배우는 학생은 like를 사용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할 것이 아닌가?
그리고like 의 용도도 점점 광범위 해지고 있다. I was like “where are you?”. 라고 하면 “‘너 어디 있니?’ 라고 내가 물었다”가 된다. I was like yes. 라고 하면 “나는 ‘예’라고 대답했다”가 된다. 그 외에도 like는 그때 그때 내가 원하는 임의의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가 한 학생에게 “장래에 어떤 일을 하고 싶니?”라고 물었을 때 답이 “Like….” 였다. 뒤에 무슨 문장이 따라나올 것이라 착각한 나는 다시 두 번 더 물었는데 답은 다 똑 같이 매번 “Like…” 였고 우리의 대화는 그것으로 끝났다. 이런 어휘의 범위를 줄이는 화법은 한국어의 “좀 그렇더라구요”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표현력을 줄이고 정작 필요할 때는 적절한 단어를 찾지 못해 어색한 공간을 다시 like 로 채우게 만든다. “‘그렇다’는 표현을 사용 안 하려니까 좀 그렇더라구요.”
한데 미국인이 널리 사용하는 like를 나는 왜 이렇게 마치 무슨 악의 근원인 것처럼 폄하하고 있는가?
언어에는 격이 있기 때문이다. 장래에는 바뀔 수 있지만 현재의 like 는 발언자의 격을 낮추고 그 외의 다른 일의 수행 능력도 의심받게 할 수 있다. 일상 생활에서 이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경쟁을 뚫고 선택을 받아야 할 경우, 그리고 그 결정자가 기성 세대의 지식인일 경우 공식은 달라진다. STS 수상자처럼 선발 되기까지 학생이 거쳐야 했던 여러 명과의 여러 단계의 인터뷰/심사 과정에 like 를 남발하고 있으면 자신이 평범한 고등학생이라고 선언하는 것이고, 결정권을 가진 사람의 무의식 속에 “흔히 볼 수 있는 학생”이라는 인상을 남기는 것이니 like없이 의사를 표현할 수 있어 “야무진 학생”으로 인상을 남기는 경쟁자에서 밀려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는 나만의 의견이 아니다. 내가 함께 일하는 대학 교수, 연구소 소장 등 지식인은 내가 내 학생들에게 like 남용을 지적하는 것을 옆에서 듣게 될 경우에는 한결같이 반색을 하며 환영을 한다. 이들은 모두 추천서를 쓰는 위치에 있거나 직접 선발/합격/취직을 결정할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다. Like를 사용치 않는 학생은 단번에 내 눈에 뜨이는데 물어보면 한결같이 부모님의 가정교육 덕분이라고 한다. 이 부모들은 아이를 사회에 경쟁력을 가진 일원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교육뿐 아니라 사용하는 언어의 격까지 가르치는 것이다. 아이가 부모보다 영어를 잘 하는 이민 가정에서는 아이들이 그저 영어를 잘 하는 것만으로 신통하게 생각할 것이 아니라 격도 like의 횟수로 미루어 가늠할 수 있다. 그리고 유심히 보면 아이들의 친구 중에 like를 사용하지 않도록 훈련 받은 아이가 있다는 것도, 그리고 이들은 자라나며 어른에게 주는 야무진 인상으로 결정이 나는 일에 탁월한 혜택 수혜의 능력을 보인다는 것도 보이게 될 것이다.
앞으로 40년이 지나 지금 어린이 세대가 중년이 되면 그 때는 지도자가 “I have, like, a dream, like.” 이라고 관중의 가슴에 와 닿는 감동적인 연설을 하는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하지만 오늘의 학생은 오늘 경쟁하고 like를 혐오하는 세대로부터 선택을 받아야 한다. 평범한 생활을 목표로 하는 학생이 평범한 화법을 구사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하지만 장래에 여러 단계의 선발/심사/인터뷰를 거쳐 높은 위치로 오르기를 희망하는 학생은 세 살 버릇이 여든까지 가는 언어 구사를 처음부터 리더답게 시작해야 할 것이다.
SAT 한국어에 대한 하버드 입학 사정관의 생각
Written on October 31, 2008
By James H. Choi
http://Korean.SabioAcademy.com
원문출처
중앙일보 2008년 10월 8일 시카고지역 교육판에 난 기사
원문: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707145
하버드 입학 사정관 인터뷰의 일부
중앙일보 질문
미국에서 성장한 한인 학생들의 상당수가 SAT II 시험중 하나로 한국어를 선택하고 있다. 하버드는 이 점에 대해 어떤 생각으로 심사하나?
SAT II 외국어 영역에서 한인학생들이 한국어를 선택한다면 그 것은 외국어가 아닌 모국어 실력을 보인다고 밖에 평가할 수 없다. 그런 점에서 만일 모국어 시험에서 800점 만점을 받지 못했으면 오히려 플러스 보다는 마이너스 평가를 받은 것이 사실이다.
SAT 시험 응시비용이 일부 가정에서는 부담이 될 수도 있다. 자신이 가장 자신있는 영역에서 최고의 모습을 보여주는 무대로 SAT 시험을 이용한다면 한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에 도전할 것을 권한다
라틴어와 스페인어, 어느쪽을 선택해야 할까?
By James H. Choi
http://Korean.SabioAcademy.com
원문출처
외국어를 선택하는 학생들을 위한 조언입니다.
한 학부모님이 불어에 유창한 자제분이 스페인어에 유창한 것에 상당한 혜택을 이미 누리고 있는지 문의 하셨습니다.
답은 yes 입니다.
불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이태리어가 유창하면 라틴어를 배우면 얻는다는 혜택을 이미 누리고 있습니다.
단 고대 로마 역사/문학을 전공하려면 고대 로마에서 사용했던 라틴어를 배워야 하지만 그 외에 SAT, 의학, 법학에 나오는 용어를 조금 쉽게 이해하는 것이 목표라면 위의 네 언어 중에 어느 언어이건 상관없습니다. 여러개를 구사하는 것은 의미가 없고 하나를 깊이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디오에 나온 사이트 리스트
- http://www.memoriapress.com/articles/why-Latin-Greek.html
- http://ancienthistory.about.com/cs/whystudyclassics/a/whystudylatin.htm
- http://educationalissues.suite101.com/article.cfm/learn_latin
- http://en.wikipedia.org/wiki/Romance_language
- http://dictionary.reference.com/browse/renal
- http://dictionary.reference.com/browse/pulmonary
- http://dictionary.reference.com/browse/ossif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