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턴쉽 > 인턴쉽 2: 고등학생이 연구에 참가할 수 있는 분야와 역할

인턴쉽 2: 고등학생이 연구에 참가할 수 있는 분야와 역할

인턴쉽 2: 고등학생이 연구에 참가할 수 있는 분야와 역할

By James H. Choi
http://Korean.SabioAcademy.com
원문출처

고 등학생이 아무리 날고 뛰는 천재라고 해도 연구소에 가서 연구자체에 공헌을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고등학생이 할 수 있는 것은 조수 역을 맡아 연구의 한 부분을 돕는 것인데  아무리 극히 일부분을 맡는다 하더라도 고등학생이 할만한 일은 드물다.  그래서 인턴들은 툭하면 비서가 하는 일만 하다 끝나게 되는 것이다.  소장/교수가 인턴을 우습게 봐서가 아니라 인턴이 실험 망치지 않고 도와줄 수 있는 일이 서류배달하고 문서 복사하는 일 밖에 없었던 것이다.  원하지도 않았던 고등학생이 매일 실험실에 나타나 우두커니 앉아 있는 것도 소장/교수에게는 스트레스를 주는 일이었으니 그렇게라도 학생 이력서에 한 줄 기입할 기회를 준 것에 감사해야 한다.

고등학생이 훈련을 받으면 프로급으로 일을 해낼 수 있는 분야 중에 하나가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다.  그냥 Java, Python 같은 언어의 기본을 갖추고 있는 학생을 많은데 그 정도로는 모자라고 온갖 의학영상, 인공위성 영상, 주식시장 기록을 주면 그 자리에서 읽어 3차원 그래프로 그려 분석하고 자유자재로 휘두를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Signal Processing, Image Processing의 기본도 갖추고 있어 Fourier Transform 정도의 정보처리는 뚝딱 계산하여 그려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런 훈련을 받은 고등학생은 웬만한 대학원생을 능가할 수 있다.

물 론 모든 대학원생을 능가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분야와 동떨어진 분야의 대학원생을 능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학, 물리학, 공학 연구소에는 교수부터 시작하여 대학원생까지 모두 이런 자료분석의 대가들이어서 고등학생의 도움을 청할 이유가 없다.  하지만 의학, 생물학 분야의 연구소에는 과학 연구의 데이터가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그 데이터를 제대로 분석 못하고 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예를 들어 신경학자가 “EEG에서 나타나는 두뇌의 활발한 부분과 PET에 나타나는 혈액순환이 많은 부분이 일치하지 않을까?” 하는 가정을 해 보고 동시에 측정을 하지만 막상 그 두 자료를 합해 비교를 할 간단한 방법은 없다.  각 측정기구마다 자신의 데이터를 보여주지 다른 회사의 다른 소프웨어가 저장한 자료를 읽어 비교해주어야 할 책임이 없기 때문이다.  누군가 두 회사 제품의 전혀 다른 데이터를 읽어 한 공간에 3차원으로 두뇌의 그림을 합성 시켜 빙빙 돌려가며 EEG와 PET의 관계를 한 눈에 볼 수 있게 해야 하는 것이다.

연구소가 재정이 넉넉하다면 프로그래머 고용해서 시킬 수 있다.  하지만 넉넉치 못한 연구소가 대부분이고 연구비를 신청해서 받을 정도로 확실한 연구 주제는 아니지만 소장/교수가 항상 찜찜하게 궁금해 하는 연관성을 더 깊이 알아보고 싶은 경우가 많다.

고등학생 인턴은 바로 이런 일을 맡아 할 수 있다.  소장/교수의 입장에서 보면 그동안 쌓아놓고만 있던 데이터가 인턴의 손을 통해 살아나게 된다.   “이렇게 해 봐” “저렇게 해 봐” 하고 주문하면 뚝딱 그래프가 나타나니 소장/교수는 그동안 궁금했던 관계를 파헤치기 시작할 수 있고 점점 세세한 부분의 미묘한 관계까지 연구할 수 있게 된다.
https://i0.wp.com/c.sabio.tv/Column/Info/Korean/SpecialEvents/SpecialEvents.gif연구소의 입장에서 보면 이런 인턴은 사막의 비처럼 귀한 존재이다.  처음에는 “설마 고등학생이 이런 것을 할 수 있을까” 반신반의하면서 호기심 수준에서 이것 저것 시켜서 결과가 나오면 “오호, 저런 그래프가 나오는구나” 하다가 점점 인턴의 능력에 의지하여 더 크고 더 상세한 그림을 보기 시작한다.  심지어는 인턴이 분석해 줄 것이라는 것을 믿고 새로운 방식의 데이터도 측정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뇌 EEG와 심장 EKG를 동시에 측정)  혹시 관계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가정하에.  관계 있다면 인턴이 그려주는 그래프에 나타날 것이고 나타나면 새로운 발견을 한 것이 되니까.  그러다 보면 인턴이 없으면 시도할 수 없었던 연구를 벌리게 되고 그렇게 중요한 역할을 한 인턴은 마침내 연구논문 저자 중에 한 명으로 이름을 올리는 영광을 얻게 되는 것이다.

과학/공학계로 진학하려는 학생의 고등학교시절 활동 기록 중에 기존 과학자의 연구논문에 이름을 올리고 그 과학자로부터 추천서를 받는 것 만큼 비중이 큰 활동은 없다.  이는 문학을 전공하려는 학생이 이미 문학작품을 출판한 것에 해당되고 비즈니스 전공 하려는 학생이 이미 대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것에 해당된다.

그것 뿐이 아니다.  이런 인턴의 일은 대개 무보수로 봉사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무보수인 대신 봉사를 했다는 인정을 받을 수가 있다.  즉, 자원봉사 시간으로 인정을 받게 되는 것이다.  그것도 Research Intern 또는 Research Assistant의 직함을 가지고 인류의 과학을 발전시키는 봉사활동을 했으니 어디 병원가서 서류들고 오가는 학생들과 차원이 다른 지식, 경험과 경력을 가지게 된다.  특히 이런 자료 분석은 인터넷으로 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학생의 거주지와 연구소는 다른 나라에 있어도 지장이 없다.  즉, 처음에 몇 주 소장/교수와 함께 일하며 서로 알게 되고 나면 나머지는 집에서 일을 하게 된다.

인턴으로 화려한 경력을 쌓고 그 위에 봉사활동 시간 인정도 받아 1석 2조의 혜택을 누리는 것이지만 염치없이 욕심을 내자면 혜택을 하나 더 추가할 수 있다.  연구 주제에 관심이 있고 연구 내용에 자신의 궁금한 점이 생겨 분석, 발견을 하게 되면 그 연구 결과로 과학경시대회에 출전할 수 있다.  인텔 과학 경시대회에서 수상하는 석사학위 수준의 논문을 제출하는 믿어지지 않는 고등학생들이 이렇게 해서 탄생되는 것이다.   이런 혜택을 누리는 학생은 옆에서 보면

  1. 장기간 같은 분야에서 많은 시간을 봉사활동을 했고
  2. 장기간 연구소에서 인턴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고
  3. 여러 과학경시대회 수상 경력이 있으니

대 체 하루 24시간 밖에 없는데 이 많은 일을 해 내었을까 하고 믿기 어려워 하지만 실은 집에 앉아 한방에 화려한 Research Intern 경력, 봉사활동, 과학경시대회 준비를 동시에 해 가며 잠도 더 충분히 자고 더 여유 있고 재미있는 고등학교 시절을 보내고 있다.  (여러 과학경시대회에서 입상하는 학생은 대부분 같은 연구를 재탕한 것이다.)

위의 예로 든 신경학 연구소는 하나의 예일 뿐 그 외에 다양한 분야에 다양한 기회가 있다.  인턴쉽이라는 것을 소장/교수에게 호의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아니라 학생의 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재편성 하면 기회의 문은 훨씬 넓게 열리게 된다.

그리고 누구나에게 이런 능력이 있는 것이 아니고 누구나에게 적절 한 순간 이런 기회가 나타나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운과 능력을 겸비한 학생이 인턴쉽의 기회를 최대한으로 활용하면 이런 수준의 환상적인 결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준비를 해야 한다.

https://i0.wp.com/c.sabio.tv/Column/Info/Korean/Copyright.gif

카테고리:인턴쉽
  1. 김대현
    11월 11, 2011 7:48 pm

    아 2년전에 이 글을 봤더라면..

  2. 슬프다
    3월 29, 2013 9:09 pm

    아 2년전에 이 글을 봤더라면….

    • 슬프다
      3월 29, 2013 9:10 pm

      진짜 2년전에 봤더라면..

  3. 손민주
    4월 6, 2020 2:19 pm

    헐 인턴이라는 말이 어려워서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궁금했는데 좋은 정보 감사해요!

  1. 11월 7, 2012 9:58 pm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