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nors Physics > Honors Physics의 현실

Honors Physics의 현실

Honors Physics의 현실

By James H. Choi
http://Korean.SabioAcademy.com
원문출처

주:  2014년부터 AP 물리 과정이 바뀝니다.  새로 바뀌는 AP Physics 1 과 2에 대해를 참고 하세요.

이제 학기말이 다가오면서 많은 학생들이 여러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Honors Physics를 배우는 학생들은 AP Physics는 아니더라도 SAT Subject Test Physics에 응시하려고 준비를 한다. Honors Physics 코스 설명을 읽으면 SAT Physics에 응시를 할 수 있는 지식을 배우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AP Physics와 달라 Honors Physics는 배워야 하는 내용을 외부에서 정하지 않는다. 코스 카탈로그에 보면 무엇을 어떻게 배운다고 되어 있지만 그것을 다 가르쳐야 한다는 규정이 없다. 그래서 Honors Physics에서는 학생을 시험보는 기계로 전락시키지 않고 학생의 배우는 속도에 따라 학생들이 재미있게 익힐 수 있도록 진도를 나가는 참교육을 하고 따라서 전체 내용의 반이나 3분의 1 정도를 배우게 된다. 여태까지 내가 가르쳐 본 Honors Physics 학생들 중에서 SAT Physics에 출제되는 범위의 반 이상을 배운 학생을 본 적이 없고 심하면 3분의 1도 못 배웠다. 대체 1년동안 무엇을 배웠나 보면 아인스타인의 상대성 원리를 배웠다는 학생도 있고 (내가 보기에는) 별 연관성 없는 내용을 이리 저리 건너 뛰어가면서 배웠다. 아니면 모두가 다 이해할 때까지 한 섹션을 가지고 몇 주동안 반복하며 배우느라 시간이 흘렀다.

AP Physics는 정해진 범위가 있고 5월에 닥치는 시험이 있기 때문에 오직 시험을 위해서 가르치고 배워야 한다. 학생이 천천히 물리라는 학문을 음미할 시간도 없고 창조적인 아이디어의 상상의 날개를 펼칠 시간도 없는 경직되고 스트레스 높은 비교육적인 수업이다. Honors Physics는 이런 악 조건에서 해방이 되었으니 물리를 음미하고 가능성을 상상할줄 아는 학생을 배출해야 할 것 같은데 결과는 반대다. 아무런 시험도 응시할 수 없는 것은 물론 특별히 물리에 대한 관심도 상상력도 느낄 수 없는 학생을 양성한다.

이렇게 천천히 나가고 배우는 양이 적은 과목에서도 고전하는 학생이 있으니 (그러니 진도가 늦는 것이다) 누구나에게 다 해당되는 조언은 아니지만 과학에 관심/소질이 있는 학생은 고등학교 1년을 이 Honors Physics 하면서 보내서는 안된다. 학교에서는 Honors Physics 하고 AP Physics하는 것이 정석이라고 하지만 이 글을 읽는 학부모님은 학교에서 말하는 “정석”의 학생이 되는 것으로 만족할 수 없으니 학교에서 제시하는 “정석”의 길을 점검 없이 따라서는 안된다. 고등학교 들어가기 전 여름에 Honors Physics에 해당되는 내용을 배워서 Physics는 AP 로 시작하도록 해야 한다. 말이 Honors Physics이지 물리에 관심 있는 학생은 그동안 읽은 것 만으로도 그 내용을 거의 다 알고 있다. 그런 자발적으로 지식을 습득할 기회가 없었더라도 내가 추천하는 DVD만 시청해도 Honors Physics에서 배우는 내용을 통달하고 AP Physics 를 시작할 준비가 된다.

과학에 소질이 있고 아직 중학생인 자제분을 두신 분은 이 점을 유의 하셔서 Honors Physics를 건너 AP Physics B로 직접 들어가도록 학생의 과학 과정을 계획/준비 하셔야 한다.

이미 자제분이 Honors Physics를 배우고 있거나 배우게 된다면 그 수업 만으로는 아무리 수업시간에 배운 것을 100% 통달 했어도 배우지 않은 부분이 더 많기 때문에 절대로 SAT Physics에서 고득점이 나올 수 없다는 것을 주지 하시고 시험 준비 계획을 따로 하셔야 한다. Honors Physics에서 아무리 천부적인 소질을 보여 학교 역사상 가장 높은 점수로 A+++를 받아 봐야 SAT Physics 에서 고득점도 못받고 AP Physics 에서 고전하며 간신히 5점 받은 학생에게 밀려나게 되어 있다.
https://i0.wp.com/c.sabio.tv/Column/Info/Korean/SpecialEvents/SpecialEvents.gif만약에 학생이 물리에 소질이 있는데 제도에 대한 이해 부족이나 그 외 수 많은 이유로 Honors Physics에 배정을 받았으면 1년동안 수업시간에 비비틀고 있지 말고 독한 마음으로 독학을 하여 AP Physics B준비를 하여 응시하는 것이 현명하다. 그런 목표를 가지고 정진하면 학생도 학교수업에 대한 불만 표현하느라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더 만족스러운 학창생활을 할 것이다.

https://i0.wp.com/c.sabio.tv/Column/Info/Korean/Copyright.gif

카테고리:Honors Physics
  1. 박혜영
    4월 16, 2013 9:02 am

    안녕하세요?
    지금 7학년 학생인데 고등학교가서 AP Physics
    부터 듣고 싶어합니다. 여름방학에 어떻게 도와줘야할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1. 12월 18, 2012 3:14 pm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