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arvard > 하버드 대학 2011년 합격생 통계

하버드 대학 2011년 합격생 통계

하버드 대학 2011년 합격생 통계

By James H. Choi
http://Korean.SabioAcademy.com
원문출처

출처: http://news.harvard.edu/gazette/story/2011/03/an-unprecedented-admissions-year/

수치 중 눈에 띄는 것 몇 가지만 보겠습니다. 나머지는 출처에서 직접 보세요.

  • 지원생: 34,950
  • 합격생: 2,158
  • 합격률: 6.2%

한데 이 6.2%라는 것이 그대로 믿어서는 안되는 수입니다.

지원자중 SAT 수학 700점 이상자가 17,000명. 즉, 700점도 받지 못한 학생이 17,950명.

지원자중 SAT 영어 700점 이상자가 14,000명. 즉, 700점도 받지 못한 학생이 20,950명.

SAT 각 과목마다 700점도 받지 못하는 학생이 반 이상입니다. 무슨 생각으로 Harvard에 지원하였을까요? 특별전형으로 입학이 미리 보장되어 있는 학생일 수도 있지만 지금 대학마다 나서서 경쟁적으로 지원생 유치하는 감언이설에 넘어가지 않았나 생각해 봅니다. 대학마다 합격률이 낮으면 낮을수록 위신이 서고 위신이 서면 동문들의 기부도 늘고 기부가 늘면 학교 마케팅을 더 적극적으로 하여 더 많은 학생이 실력에 관계없이 지원하고 그러면 입학률이 내려가고 그러면 위상이 올라가고 그러면 기부금이 늘고… 의 (악/선)순환을 하고 있다고 이 기사에 나와 있습니다.

영어: http://www.nytimes.com/2010/11/07/education/edlife/07HOOVER-t.html?_r=1

한국어: http://www.globaledunews.org/news/articleView.html?idxno=462

(Harvard 측에서 이렇게 낮은 700점으로 통계를 낸 이유는 더 높은 점수를 사용했다가는 마치 그 점수가 커트라인으로 인식이 될 것을 우려해서라고 짐작해봅니다. )

그러니 지원자가 많다고 해도 이렇게 “지원의 기쁨”을 느껴보기 위한 지원자로 반 이상이 채워져 있으니 수치만 보고 긴장할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 다음으로 눈에 띄는 수치는 지원자중 고등학교 전교 1등이 3,800명이었답니다. 합격자 2,158에 거의 두배에 육박하는 수치인데 동문자녀 특별유형등을 고려하여 실력으로 합격하는 자리 수만 가지고 계산하면 이 비율이 더 높을 것입니다. 이 수치야 말로 정직하게 경쟁의 강도를 알려주는 수치입니다.
https://i0.wp.com/c.sabio.tv/Column/Info/Korean/SpecialEvents/SpecialEvents.gif합격자 중 동양인이 17.8%, 흑인이 11.8%, 라티노가 12.1%랍니다. 여기에 인종당 합격률을 보여 주었으면 그리고 각 인종마다의 평균 SAT 점수를 보여 주었으면 현실이 더 적라하게 나타날텐데 언급이 없고 결과만 발표했습니다. 제가 가르치는 동양인 학생들 중에 동양인이 없는 곳에 거주하는 학생들은 자신이 백인과 같은 대우를 받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사회에서는 그렇겠지만 대입에서만은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제대로 준비를 할 텐데 영 믿으려 하지 않습니다.

학생: “이런 저런 수준의 선배가 무슨 무슨 대학가는 것을 봤다. 나도 그보다 높은 수준인데 뭘 더 해야 하느냐?”
나: “그 선배 동양이었냐?”
학생: “아니다. 백인이었다.”
나: “너는 동양인라 기준이 다르다.”
학생: “그런 인종차별주의 소리 하지 마라.”

그러고 나서 불합격 통지를 받습니다.

전공 미정 (Undecided)로 합격한 학생은 1.2%였답니다. 98.8%는 무엇을 전공 하고 싶은지 알고 지원을 한 것이지요.  하버드 대학 information session에서 “전공 미정으로 지원해도 되는가?”라고 질문하면 항상 “물론 그런 학생들도 받는다”고 시원시원하게 지원 하라고 하는데 제대로 알려 주려면 1.2%를 미정으로 받는다고 했어야 더 정확했죠.

합격자 중 영주권자는 20%, 외국인은 10% 이었답니다.

그러니 마케팅의 말만 듣지 말고 이렇게 수치를 봐야 하고 수치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말고 뒤집어 봐야 하는 것입니다.

https://i0.wp.com/c.sabio.tv/Column/Info/Korean/Copyright.gif

 

카테고리:Harvard
  1. 댓글이 없습니다.
  1. No trackbacks yet.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